내부 풀업 저항 (I/O 포트)

2016. 4. 19. 21:07 from MCU/AVR

ATmega128 각 I/O핀에는 보호용 다이오드와 의 내부 풀업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40mA 정도의 출력 능력을 가지고 있다(평상시에 내부 풀업이 되어 있다는 말이 아니라 내부 풀업저항을 가지고 있다는 말).




아래에 보면 내부 풀업이 사용 되는 때는 DDRx = 0, PORTx = 1, PUD = 1 일때만 적용된다.



참고로 내부 풀업이 사용 되었을 때 MCU는 해당 핀을 low 상태로 인식한다. -> MCU도 5V 상태이고 PIN도 5V 상태이므로 low 상태로 인식


* PUD

When this bit is written to one, the pull-ups in the I/O ports are disabled even if the DDxn and

PORTxn Registers are configured to enable the pull-ups ({DDxn, PORTxn} = 0b01). See “Configuring

the Pin” on page 66 for more details about this feature.

'MCU > AV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로더란?  (0) 2016.08.06
SPI 통신  (0) 2016.04.21
펌웨어와 임베디드  (0) 2015.05.29
인터럽트 한개로 다수의 RC 서보 제어  (0) 2013.12.17
[AVR] 데이터 손실  (0) 2013.12.12
Posted by 나무길 :

Shell thickness 차이

2016. 4. 17. 02:13 from 3D프린터

Shell Thickness 는 한 층을 쌓을 때 가장 외벽을 뜻한다.




view mode 에서 Layers 를 선택해 보면 가장 외벽은 빨간색으로 나타나고 (프린팅 할 때 제일 먼저 프린팅하는 부분) 노란색은 내부를 체크 모양으로 채워나가는 동작이다. 그리고 초록색은 빨간색의 연장선이라고 보면 된다. Shell Thickness를 두껍게 하여 노란색으로 동작하는 부분을 제거 시키면 3D 프린터는 체크무늬 없이 회전을 통해서만 프린팅을 한다.




왼쪽이 Shell Thickness를 두껍게 하여 노란색 부분을 제거한 출력물. 오른쪽은 울퉁불퉁한 곳이 노란색 프린팅을 한 곳이다. 체크무늬 프린팅 동작이 시작되면 출력물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밖으로 삐져나오는 현상. 따라서 출력물이 두께가 너무 앏을 시에는 Shell Thickness 를 두껍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3D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 재료  (0) 2017.01.12
PLA 재료 사용시 파라미터  (0) 2017.01.07
필라멘트 수축 현상  (0) 2016.04.16
Posted by 나무길 :

필라멘트 수축 현상

2016. 4. 16. 09:24 from 3D프린터


출력물 크기 : 120 x 175 x 33.8 mm


문제점 : 필라멘트 수축이 일어남





출력물 크기 : 120 x 175 x 29 mm 


해결 : 다른 여러가지 설정도 바꾸었지만 가장 크게 작용했던 것은 지지대 설정 차이

위 지지대는 raft 설정이고 아래 설정은 brim 설정


수축에 영향을 미친 다른 조건은 출려물의 높이. 출력물이 높을 수록 베드의 영향을 벗어나므로 필라멘트 수축이 잘 일어난다. 따라서 높이를 낮출것.

'3D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 재료  (0) 2017.01.12
PLA 재료 사용시 파라미터  (0) 2017.01.07
Shell thickness 차이  (0) 2016.04.17
Posted by 나무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