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미국 대학원 선택  


써놓고 보니, 제목이 약간 유치함. 하지만, 있는 사실 그대로를 반영하려다 보니까, 이렇게 유치하게 쓸 수 밖에 없었음.

말 그대로, 당신이 서울대나 연고대 출신이건, 지방대 출신이건 졸업한 대학교의 간판에 상관없이, 누구나 동등한 자격으로 미국 대학원의 박사과정에 지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글임. 그것도 이름있는 좋은 미국 대학원임. 장학금에 생활비까지 지원해 주는 그런 대학원에 도전하는 것임. 

 

가정을 해보삼. 두 지원자가 있음. 한 지원자는 서울대를 졸업했고, 다른 지원자는 지방 듣보대를 졸업했음. 근데, 둘의 점수는 100% 일치함. 토플 점수, GRE 점수, 대학교 누적 GPA가 서로 똑같음. 그리고 이 두 지원자가 동시에 하버드 경영대학원 박사 과정에 지원했음. 누가 붙을것 같음? 대게 한국 사람들 생각을 따르자면, 당연히 서울대 졸업장을 가지고 있는 지원자가 붙어야 함.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고 착각임. 이런 식으로 세가지 요소가 완벽히 일치한다면, 입학 사정관들은 이 선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함. 그래서 다른 요소들도 고려하게 됨. 지원자들이 작성한 에세이를 분석한다던가, 연구 경력을 평가한다던가, 추천서들을 검토하는등등. 미국 대학원의 입학 사정관들이 한국 대학교 순위들을 알거라고 생각함? 알지는 몰라도, 그리 큰 관심은 없음. 만일, 출신 대학교의 순위가 그렇게 중요하다면, 세계 대학 랭킹 순위에서 140위권과 190위권을 멤돌고 있는 연세대나 고려대1 졸업생들은 미국의 명문 대학원으로 유학갈 수 없게되는 것임.

 

 

본인 역시 서울대나 연고대 같이 모든 사람들이 알아주는 대학교를 나오지 못했음. 하지만, 미국 대학원의 박사과정은 의외로 세계의 많은 학생들을 향해서 활짝 열려 있었고, 가능한 많은 이들에게 그 기회를 나누어 주려고 노력하는 곳이었음. 이런 사실을 깨닫고, 대학원이 요구하는 요점들을 잘 맞추면서 지원에 지원을 거듭한 결과, 나름 알아주는 대학원에서 국제정치경제학 박사과정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음. 보다 많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열정과 비젼을 가지고 더 넓은 세계의 문을 두드리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쓰는 것임. 더 커다란 교육의 현장에서 더 많이 배우고, 더 많이 느끼고, 더 많이 보길 바람. 그래서 주변의 이웃들과 타인들에게 유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인재들로 거듭나길 바라는 간절한 마음에서 열심히 글을 쓰고 있는 것임.

 

미국이라는 나라 정말 대단한 곳임. 국적을 불문하고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공정한 대우를 해주고, 투명하게 권리를 인정해 주는 나라가 바로 미국임. 미국이 세계 최강국인 이유는 비단 군사력이나 경제력 뿐만이 아닌,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평한 기회에 그 이유가 있음. 경영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맥킨지라는 세계적인 컨설팅 회사를 알고 있을 것임. 하지만, 최근까지 맥킨지를 이끌었던 대표이사가 인도 사람이라는 사실은 모를것임. 이름하여 라잣 굽타 (Rajat Gupta)2. 대학교까지 인도에서 나온 이 사람은 하버드에서 경영 대학원을 다녔고, 졸업 후 맥킨지에 입사, 열심히 일해서 대표이사의 자리에 까지 오른 인물임. 미국이란 나라를 흔히들 기회의 나라라고 표현함. 그 이유는 배울 수 있고, 또 성공할 수 있는 기회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마련되기 때문임. 미국 대학원 교육의 현장에서도 이런 공평한 기회들을 여럿 발견할 수 있음. 여러분들도 열심히 노력해서 이런 기회를 잡길 바람.

 

우선 설명하기에 앞서서, 몇가지 가정들을 해야함. 아무리 공평한 기회가 주어지고 차별이 없다고 해도, 기본적인 실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사람에겐 기회가 공짜로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염두해두길 바람.

여기서 말하는 '지원자'란 대한민국의 지역이나 학교 이름에 상관없이 4년제 대학을 나온 사람이어야 하고, 학점 (GPA)이 90% 이상이어야 함. 한국 대학들은 4.5점 만점이니까, 최종 누적 학점이 적어도 4.05는 되어야 한다는 것임.

미국 대학원을 지원할때 공통적으로 필요한 시험 점수들이 있는데, 바로 토플과 GRE임. 사실, 미국 대학원들은 한국에서 수능점수 따지듯이 최저 요구 점수 개념이 없음. 왜냐하면, 지원자들을 평가하는 기준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임. 점수들도 중요하지만, 한편으론 학부 시절의 학점들도 중요하고, 지원서에 첨부하는 에세이에도 비중을 두면서, 기타 외부 연구 경력에도 관심을 가지는 등, 평가 기준은 다방면임. 지원시 필요한 점수들과 자료들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음.

그리고 또 하나의 고려대상이 석사학위 유무임. 미국 대학원의 박사과정은 석사를 필수 요소로 취급하지 않음. 석사 학위 없이, 학사 학위만으로도 박사과정에 지원할 자격이 주어짐. 하지만, 리서치 활동 경력은 반드시 있어야 함. 그렇기 때문에 석사학위가 있으면 편한 것임. 석사 과정동안은 리포트도 많이 쓰고, 기타 리서치 활동에 필요한 훈련들도 많이 받게 되므로, 석사과정이 있으면 다른 기관에서의 연구 경력이 필요없게 되는 것임. 물론, 석사학위도 있고, 또 연구 기관에서의 리서치 경력이 함께 있다면, 더할 나위없이 좋은 것임. 하지만,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석사과정은 선행되어야 할 필수 요소가 아님. 만일, 지원자가 대학교를 졸업한뒤, 석사과정에 진학하지 않고, 다른 연구 기관에서 2~3년간 연구원 경력을 보내며 이런 저런 논문들을 작성하는데 공헌한 경력이 있다면, 어중간한 석사 학위보다 더욱 훌륭한 강점이 될 수 있음.

박사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탁월한 리서치 경력이라는 것을 꼭 명심하기 바람.

 

정리를 하자면, 본문에서 얘기하는 '지원자'의 스팩은

4년제 대학 졸업자;

최종 누적학점 4.2 이상;

토플 600점 (PBT기준), 100점 (IBT기준) 이상;

GRE 1400점 이상;

석사학위 소지자 혹은 기타 연구기관의 연구원 경력 소유자를 말함.

 

그럼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겠음.

미국으로 유학을 가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삼? 당연히 학교를 알아봐야 함.

usnews.com/college 라는 사이트를 활용하길 적극 추천함. 미국 대학들의 순위들을 쫙 나열해 놓은 곳임. 학사 순위 뿐만이 아니라, 대학원 순위들을 전공별로 찾아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사이트임. 아래는 사이트 이미지임.

 

 

페이지의 메뉴 상단을 보니까, COLLEGE 옆에 GRAD SCHOOLS이라고 있음. graduate schools의 준말인데, 미국에서 graduate school이란 학사 이상, 즉 석사나 박사를 다루는 대학원을 말함. 지원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는 바로 여기에 있음. 그래서 클릭해서 들어가 봤음. 그랬더니, 아래 이미지같이 대학원들의 랭킹 정보가 바로 나옴. 아주 정리를 잘해놨음.

 

 

지원자가 공부 하고자 하는 분야가 수학이라고 치삼. 카테고리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수학은 Science라는 카테고리에 분류해 두었음. 즉, 순수 과학 학문이라는 것임. 그래서 순위를 클릭해보니까, 순위가 쫙 나옴. 

 

 

 

지원자가 지방 듣보대 출신이라고 가정하삼. 왠지 주눅이 들어서 낮은 순위부터 들여다 보기 시작함. 하지만, 그래서는 안됨. 아까도 말했듯이, 입학 사정관들이나 교수들이 한국 대학 순위들 잘 알지도 못하고 또 신경 안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지원자 개개인의 리서치 경력과 역량, 그리고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교의 교수들과의 리서치 영역이 얼마나 맞는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함. 그러므로 학교 간판따위로 절대로 주눅들 필요가 없음.

 

그리고 무엇보다도 순위가 높은 대학들일 수록, 외부로부터의 연구지원비나 기부금이 많이 들어와서, 박사과정 전 학생들의 100% 장학금은 물론이고, 생활비까지 제공됨. 아무리 그래도 하버드나 MIT는 너무 부담스럽기만 하다고 생각한 나머지, 지원자가 10위권 밖의 학교들을 노리기로 결심했다고 치삼. 그래서 현재 공동 10위를 기록하고 있는 콜롬비아 대학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치삼.

그래서 콜롬비아 대학의 수학과 홈페이지를 검색해서 사이트에 들어가봤음.

 

 

홈페이지가 참 단아하고 품위있다는 느낌을 받았음. 지원자는 박사과정을 지원하는 것이므로, 박사과정에 대한 설명을 잘 읽어보아야 함. 이런 설명은 우선 Program으로 들어가야 알 수 있음. 메뉴 상단에 Programs를 클릭하니까, 콜럼비아 대학교 수학과가 제공하는 학위들이 소개됨. 좌측 카테고리를 보니까, 총 3개의 학위를 수여하고 있음. 

 

 

우선 학사. 미국에선 대학교 4년 과정 학사를 undergraduate 라고 표현함. 그리고 그 밑에는 graduate. 이는 대학원을 말함. graduate이란 단어는 석사와 박사를 모두 포함함. 그리고 여기는 또 하나의 대학원 학위를 수여하고 있는데, 이름하여 MA in Mathematical Finance. MA는 Master of Arts를 줄인 말임. 한국말로 직역하자면, 금융 수학 석사과정임. 대강 설명을 읽어보니까, 경제학에서 다루는 재정학에 수학적인 요소들을 접목시켜서 수리적인 면을 더욱 부각시킨 학문인것 같음. 지원자는 지금 석사 과정을 찾는 것이 아니므로, 그냥 패스. 그래서 graduate program을 클릭했음.

 

새로운 페이지의 첫 문장에 딱 떠오름.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offers a program leading to the degrees of Doctor of Philosophy." "콜럼비아의 수학 대학은 박사학위 과정을 제공함." 지원자가 찾는 것이 바로 여기에 있음. 우선 지원자는 장학금에 민감하다고 가정하삼.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가장 먼저 알아보기로 했음. 어느 학교를 막론하고, 장학금은 Financial Aid에서 정보를 알아볼 수 있음. 그래서 ctrl+F를 눌러서 Financial Aid를 찾아보니까,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음.

 

 

 

여기에 분명히 기록되어 있음.

"본 대학원은 우수한 학생들이 빠른 시일내에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원 장학금 제도들을 제공하고 있음. 박사 과정에 합격한 과정 기간동안 각 학생들은 최장 5년 동안 수학 대학원의 연구원으로 임명될 것임. 연구원으로 임명된 학생들은 생활비 지급과 학비 면제 혜택을 받게됨."

한마디로, 박사과정에 입학하면, 100% 장학금은 물론, 용돈까지 받아가며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는 얘기임.

 

여기서 잠깐, 미국 대학원의 장학금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겠음. 한국에서 보통 훌륭한 대학을 말하자면, 대게 학부가 훌륭한 대학을 얘기함. 최고의 수능 점수를 보유한 학생들이 모이는 학교를 훌륭한 대학이라고 일컬음. 하지만, 미국에서 말하는 훌륭한 대학의 기준은 얼마나 훌륭한 대학원들이 있는지에 따름. 예로부터 미국의 대학원들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기관이라기 보단, 연구 기관의 성격을 띄고 활동했음. 대학원의 교수들은 연구 팀장이고, 그 밑의 대학원생들은 바로 연구원들임. 

 

존슨앤 존슨이라는 회사를 예로 들겠음. 아시다시피 존슨앤 존슨은 세계 최고의 제약 회사임. 새로운 신약들과 제품들을 계속해서 개발해야하니까, 이런 세계 최고의 기업들은 R&D에도 어머어마한 투자를 함. 이러한 연구 활동은 사내 연구실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약학으로 유명한 대학원과의 연구 협력으로도 이루어짐. 존슨앤 존슨의 경우, 본사가 위치한 미국 뉴져지 주에 Rutgers(럿걸스)라는 커다란 주립대학이 있는데, 이 학교가 유명한 대학원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음. 그 중에서도 약학 대학원은 미국 최고의 수준임. 그러다보니까, 존슨앤 존슨과 럿걸스 약학 대학원과의 연구 협력이 매우 활발히 진행됨. 존슨앤 존슨은 약학 대학원에게 연구 지원비 명목으로 상당한 액수의 돈을 지불하고, 럿걸스 약학 대학원은 그렇게 받은 돈을 이용해서 전 세계 각지의 훌륭한 학생들을 입학시켜서 장학금과 생활비를 보조해가며 연구활동을 할 수 있게 해 줌. 이러한 모습이 바로 미국 대학원들의 전형적인 모습임.

 

콜럼비아 수학과 같은 경우도, 외부 협력업체가 누구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런 식의 연구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고, 또 협력을 통해서 얻게되는 돈을 가지고 되도록 많은 학생들에게 생활비와 장학금을 제공해 주는 것임. 즉, 수준이 낮은 대학일 수록, 외부 업체나 기관들과의 협력이 없을 것이고, 그러다보면, 거두어 들일 수 있는 보조금도 부족해져서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제공해 줄 수 없게되는 것임. 그러므로 미국 대학원의 박사과정이란, 단순히 배우러 가는 것보단, 지도 교수에게 연구 보조원 자격으로 취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함. 월급은 생활비와 학비의 형태로 받는 것임.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겠음. 이제 콜럼비아 대학교가 장학금도 잘 주고, 돈도 두둑히 주는 학교임을 알았음. 그럼 이제 뭘해야 한다고 생각함? 이 학교의 연구 활동을 차근차근 검색해봐야함. 어느 학교나 특화된 연구 영역이 있음. 다같은 수학과라고 해서, 콜럼비아 대학원이랑 하버드 대학원이랑 같은 연구를 하고 있지는 않음. 다시한번 말하지만, '지원자'는 학교의 교수들 밑으로 취직하는 것임. 그러기 위해선, 내가 연구해오고 공부해온 분야와 본 대학원이 추구하는 연구 분야가 서로 맞아 떨어져야 함. 그래야 날 고용해서 지도하고 쓸 수 있는 것임. 이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려면, 본 대학원의 연구 영역, 즉, Research 영역을 알아봐야 함. 홈페이지에 보니까, 메뉴 상단에 Research 라고 되어있음. 클릭해 보겠음.

 

 

그랬더니, 본 대학원이 활발히 연구하는 영역이 상세히 설명된 페이지가 나옴.

 

 

'지원자'의 세부 전공과 그 동안 연구해온 분야가 위상 수학 (topology) 이라고 하겠음. 보니까, 맨 아래에 topology가 있음. 클릭해보니까, topology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콜롬비아 수학 대학원이 topology 분야에 오랜동안 연구 활동을 해왔다고 기록되어 있음. 즉, '지원자'가 추구해오고 공부해온 분야랑 맞는 구석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음. 장학금도 두둑히 주고, '지원자'와 통하는 구석이 있다는 것을 발견함. 그럼 이제 뭘해야 한다고 생각함? 무턱대고 온라인 지원서를 작성하기 이전에, 교수와 컨택을 해봐야 함. topology를 설명한 페이지 하단에 보니까,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본 대학원 교수들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음.

 

 

 

홈페이지 메뉴 상단에 보면, people이라는 메뉴가 있음. 이 부분을 클릭하면, 본 대학원에 소속되어 있는 교수들 명단이 쫙 나옴. 그 명단에서 위 교수들 이름을 하나하나 찾아서 이력서를 봐야함. 그래서 내가 공부해온 분야와 가장 잘 맞는 교수를 찾아내서 이 메일로 먼저 컨택을 해야함.

"나는 한국의 누구누구인데, 콜럼비아 수학 대학원의 topology 박사 과정에 많은 관심이 있어서 이렇게 이메일을 쓴다. 특히나, 당신이 해온 연구 분야가 내가 공부해 오고, 연구해온 분야랑 맞아 떨어지는 것이 많아서, 당신 밑에서 배우면서 연구활동을 하고 싶다." 뭐 이런 식으로 인사를 터야함.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지원자'가 공부해온 세부 전공과 이에 해당하는 연구 활동 혹은 석사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해야함. 그래야만 교수가 입학시켜서 밑에 두고 연구를 시킬 학생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음. 제 아무리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을 나왔다하더라도, 컨택하는 교수와 연구 초점이 맞지 않으면, 입학하기가 매우 힘듬. 반대로, 지방대를 나왔더라도, 교수가 평생 해온 연구와 지원자가 연구해 오고, 또 앞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이 맞으면, 교수는 관심을 보임. 한번 교수가 관심을 보이면, 연구 목록이나 논문들을 보내달라고도 함. 그럼 정성껏 번역해서 보내주고, 연구에 대한 열정과 의지를 표현하면 됨. 그리고 교수가 정말로 마음에 있다면, 정식으로 온라인 지원서를 작성하라고 말해줌. 이렇게 되면, 90%는 성공한 것임. 이 예는 비단 수학과만 말하는 것이 아님. 어떤 전공을 막론하고, 시작은 이런 방식으로 하는 것임. 높은 GRE 점수를 들이대며 입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님. 그런 것은 대학교 진학때나 하는 것임. 박사과정은 단순 입학을 넘어서서 교수 밑으로 고용이 되어야 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함.

 

아마 이 글을 읽으면서, 해야할 일들이 너무 많다고 투덜거리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라 생각함. 하지만, 해야할 것들, 생소한 것들이 아주 많다는 것은 당연한 것임. 아까도 얘기했듯이, 공짜로 얻어지는 것은 없기 때문임. 전액 장학금과 생활비 지원, 그리고 이름있는 대학원의 박사 학위와 간판을 생각한다면, 이런 고생과 노력은 정말 아무것도 아님.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강조하겠음. 미국이란 나라에서는 시간과 기회는 누구에게나 공평함. 이 시간과 기회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또 최선을 다하냐에 따라서 훗날 라잣 굽타가 될 수도 있는 것이고, 그렇고 그런 지방 듣보대 학위로 끝날수도 있는 것임. 그러므로, 당신이 더 큰 세계에서의 학문과 연구를 꿈꾸는 자라면, 자신을 먼저 돌이켜 보길 바람. 점수가 부족한 면은 없는지, 혹은 연구 경력이 짧지는 않은지, 나의 경력과 가장 잘 맞는 학교와 교수는 누가 있는지 등등. 그래서 부족한 점들을 빠른 시일내에 보완해서, '지원자'에 맞는 스팩을 갖추고, 도전해 보길 바람.

 

다음 포스트에서는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 지원시 필요한 서류들에 대해서 설명하겠음

 

----------------------------------------------------------------------------------------------------------------------  

 

2부. 미국 대학원 선택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을 진학할때 어느 학교나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자료들이 있음.


GRE 성적토플 성적여지껏 나온 학교 (대학교 이상성적 졸업 증명서에세이그리고 추천서 (보통 3). 이제부터 하나하나 설명해 보겠음.

 

1. GRE 성적


GRE 시험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어져 있음. 영어 (Verbal), 수학 (Quantitative) 그리고 작문 (Analytical Writing). 영어랑 수학은 각각 800점 만점으로서, 합산한 점수를 보통 얘기하고, 6점 만점인 작문 점수는 따로 말함. 예를 들면, "나 지난번 본 GRE 수학 700에 영어 600해서 1300 받았고, 작문은 4.5 받았어." 라고 일반적으로 얘기함.

어떤 대학원을 지원하건 간에, 요구하는 최저 점수는 없음. 한국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어느 대학교를 들어가건, 전공에 따라 수능 점수 커트라인이 있음. 근데, 미국 학교들은 그런 거 없음. 이전 포스트에서도 설명 했듯이, 평가 기준이 워낙이 다양해서 그런것임. 그런 이유에서, 나보다 GRE 점수가 20점 높은 사람이 떨어지고 나는 붙기도 하는 그런 현상도 일어남. 물론, 거기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음. 이제껏 해온 나의 연구 활동이 더욱 우수해서 일 수도 있고, 에세이에서 밝힌 나의 포부가 지원하는 학교의 연구 영역과 더욱 잘 맞아 떨어져서 그런것일 수도 있고, 이유는 여러 경우가 될 수 있음.

물론 다다익선이라고 점수는 높으면 높을수록 좋음. 하지만, 본인이 강조하고 싶은 점은, 높은 GRE 점수 하나가 만능 솔루션이 되는 경우는 절대 없다는 것임. 작문은 5점 이상만 받으면, 어떤 학교를 지원하건 아무 문제 없음. 영어나 수학 같은 경우는 전공에 따라서 비중이 좀 다름. 예를 들어, 정치학 박사 과정을 지원하려는 사람이면, 당연히 영어 점수가 많이 좋아야 할 것이고, 기계 공학을 지원하는 사람이라면, 아무래도 영어 보단, 수학 점수가 월등히 좋아야 함.

GRE 시험을 한 번 봐본 사람은 알겠지만, 수학 엄청 쉬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1학년 수학 수준이라고 생각하면 됨. 그래서 쫌만 열심히 하면, 이과나 문과에 상관없이 800점 만점 받을 수 있음. 문제는 영어임. GRE 영어의 힘은 바로 암기임. 실제 미국 사람들이 잘 쓰지도 않는 이상한 단어들 까지 모두다 암기하고 있는 사람이 승자가 될 수 있음. 한국의 주입식 교육의 특성을 잘 살려서 열심히 암기하길 바람. 지름길은 없음.


2. 토플 성적


토플 점수는 PBT 기준으로 600점 이상이면 아무 문제 없음. 외국 학생들에게 토플 점수를 요구하는 이유는 수업 시간의 내용이나 과제들을 잘 따라올 수 있나 없나를 확인하는 차원임. 그러므로, 만점을 향해 달릴 필요 절대 없음. 600점 이상이면 그걸로 된거임.


3. 에세이


에세이 만만히 보거나 우습게 보면 절대로 안됨. 미국 사람들 정말 고지식하고 순진해서 에세이 매우 꼼꼼히 읽어봄. 에세이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내용들이 몇가지 있음. 우선 왜 박사를 지원하려고 하는지? 어떤 분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싶은지? 그리고 이를 이루기 위해서 이전 까지 어떤 연구 활동을 해왔는지를 적어야 함. 특히 마지막 부분인, 어떤 연구 활동을 해왔는지는 참 중요함. 이력서로 치면, 과거의 경력 사항이 되는 것임. 이전 포스트에서 밝혔듯이, 연구 활동은 크게 두 가지 경우에서 이루어 질 수 있음. 석사 과정을 통해서, 혹은 대학교 졸업 후 연구 기관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한 경력임. 즉, 미국 대학원 박사 과정 지원에 있어서 석사 과정은 필수 요소가 아님. 석사 과정에 필적할 만한 다른 리서치 경력이 있으면, 그걸로 충분함. 한국 사회와 미국 사회의 가장 큰 차이점들 중 하나는 바로 다양성을 인정하느냐 안하느냐임. 한국 사람들 입사 지원서를 보면, 자기 소개서가 있는데, 쓴 양식들이 95% 똑같음. 우선 시작은 성장 배경등으로 하고, 중간에 와서는 학력과 경력 그리고 입사 지원 동기를 쓰고, 마지막에는 포부를 화려하게 밝히며 끝맺음을 하는 패턴임. 만일 이런 양식을 조금이라도 벗어난 자기 소개서를 작성하면, 그리 좋은 시선을 기대하기 힘듬. 마치, 혼자만 튀고 뻣나가는, 조직 생활 적응 못하는 사람으로 찍히기 쉽상임. 요즘에서야 다양성을 존중한다고는 말하지만, 아직 한참 멀었음. 반면, 미국 같은 경우는 이론적으로도, 실질적으로도 다양성을 매우 중요시 함. 서점에 가면, 미국 MBA 지원자들이 쓴 에세이 모음집 같은 것들 많이 있음. 읽어보면, 쓰는 패턴이나 형식, 문체 스타일들이 굉장히 제각각임. 오히려 식상하고 양식에 갇혀있는 모습을 보여선 안됨.

미국이란 나라가 다양성을 존중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려면, 존 에프 케네디가 국회의원을 하던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야함. 당시 유럽과 남미에서 많은 노동자들과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흘러들어오고 있었고, 국회의원들 사이에서 찬반 논쟁이 거셌음. 이와중에 케네디가 열심히 리서치를 해서, 다양한 문화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일한다는 것이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으로 미국에게 얼마나 큰 혜택과 발전을 가져다 줄 수 있는지를 주장함. 개인적으로 미국이란 나라가 세계 최강의 국가가 된 배경에는 다양성을 존중할 줄 아는 지혜가 있다고 믿음. 결론을 말하자면, 자신의 열정과 개성을 표현할 줄 아는 독창적인 에세이는 좋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4. 추천서


보통 어느 학교나 추천서를 3통 요구함. 추천서 절대로 무시하지 마시길. 에세이와 마찬가지로, 미국 사람들 추천서 하나하나 열심히 읽어보면서, 추천자들이 설명하는 부분들과 에세이에서 지원자가 밝힌 내용과 열심히 비교해 가며 판단함. 한국 사람들이 추천서에 대해서 오해하는 부분 중 하나가, 높은 위치의 사람한테 추천서 받으면, 굉장히 효력이 강할 것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커다란 착각임. 추천서는 자신을 가장 잘 알고, 가장 진솔하게 추천을 해줄 수 있는 사람한테 받아야 함. 그렇다고 해서 개인적인 친분의 관계의 사람들 (가족이나 아버지의 친구등등)이 아니라, 경력상의 관계가 있는 사람들 (직장 고참이나 지도 교수등등)의 것이어야 함. 지원자가 대학원에 진학해서 더욱 더 왕성한 리서치 활동을 벌일 수 있다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추천해 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




* 출처 : http://blog.daum.net/kenziemilkyway/2


'개인 > 외국으로 대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의 공부하는 방법  (0) 2013.10.24
Posted by 나무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