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 재료

2017. 1. 12. 08:27 from 3D프린터

[ Original Message ]

프린터는 코봇 A200을 사용합니다.

abs 만 출력하다가 처음으로 쓰게 된것이 top3d pla 입니다.

타사 제품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반신 반의 하며 구매하였습니다. 싼맛에 한번 써보자 게다가 국산 아니냐 믿고 써보자 라는 생각이었죠

pla를 처음 써봐서 적응하는데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처음엔 뭣모르고 막 하다가 틱틱거리고 노즐 구멍이 막힌것 처럼 빈번하게 필라멘트가 토출되다가 뒤로 감기더군요... 제가 쓰는 프린터가

불량품인줄 알았습니다.

pla는 abs 에 비해 좀 쫀득? 거린다고 해야하나... 베드와 노즐의 간격을 abs 할때 보다 여유있게 줘야 출력이 잘 되더군요

노즐과 베드의 간격을 0.3-0.35정도 (명함이 가볍게 왔다갔다 할정도의 두께 - 제 명함은 0.3 이더군요)

간격을 충분히 줬는데 또 틱틱 거리고 필라멘트가 뒤로 돌아간다면 핸드토치로 노즐을 가볍게 달궈서 청소해주시구요

그래도 안되면 노즐안에 있는 테프론튜브를 교체 해주세요

저는 이 세가지 해결법으로 출력 잘 하고 있습니다.

프린터 설정은

노즐온도 : 220-230

베드온도 : 50

출력속도 : 50

필라멘트 속도 : 85-90

접사 사진은 40배 루페를 이용해 핸드폰으로 찍은것 입니다.

실제로 보면 엄청 매끈하게 잘 나왔습니다.

참고로 저는 top3d 에서 어떠한 협찬도 받지 않고 제돈주고 사서 제가 직접 써보고 이 글을 쓰는겁니다.

프린터를 사서 뭐좀 해보려니 어떤곳에서 pla 나 abs 를 사야할지 막막 하더군요 잘못사면 노즐이 막힌다는둥

중국산은 안된다는둥 또 어디가면 중국산도 괜찮다는둥.. 국산이 좋다고 하는사람 않좋다고 하는사람.. 정신이 없더군요

이왕이면 싸고 좋은거 쓰시길 바라는 마음에 이 글을 씁니다. (아직 컬러는 몇개 없지만... 앞으로 더 나오겠죠뭐)

'3D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 재료 사용시 파라미터  (0) 2017.01.07
Shell thickness 차이  (0) 2016.04.17
필라멘트 수축 현상  (0) 2016.04.16
Posted by 나무길 :

PLA 사용 시 주의할 점

- 베드 온도가 너무 높으면 (100도 가까이) 작품이 베드에 안착하지 못하고 떨어진다. 40도 ~ 60도 사이가 적당.


- PLA 필라멘트는 출력 도중에 3D 프린터 튜브에서 부풀러 오를 수 있다. 그러면 필라멘트 출력 양이 줄어들면서 튜브속에 필라멘트가 막히게 된다. 프린팅 속도 70 이상이 적당. (필라멘트 출력 양이 줄어들면 아래 두 번째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 처럼 필라멘트가 띄엄 띄엄 출력 된다.)


- PLA 필라멘트는 작품 하나를 출력한 후 3D 프린터 작동을 멈췄을 때 튜브 속에서 부풀러 오른다. 그래서 다음 작품을 출력할 때 필라멘트 양이 줄어들며 노즐이 막히게 된다. 그러므로 한 작품 출력한 후에 필라멘트를 제거해야 한다.



< 베드 온도가 너무 높아서 베드에 안착 실패 >




< 필라멘트 출력 양 줄어듬 >



'3D프린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A 재료  (0) 2017.01.12
Shell thickness 차이  (0) 2016.04.17
필라멘트 수축 현상  (0) 2016.04.16
Posted by 나무길 :

Quadcopter를 왜 만들려고 하는가?


그저 대학원을 가기 위해서? -> 다른 애들(스팩 쌓아서 취직 잘 할려는 애들)이랑 차이가 없다.


그러면 원래 내가 만들고 싶어하는 잠자리를 만들기 위해서 내가 해왔던 것이 있나?

일단은 잠자리 로봇을 만들기 전에 좀 더 쉬운 비행체를 공부해 볼려고 한다. Quadcopter를 통해서 공부.


그러면 잠자리가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그리고 내가 만드는 Quadcopter가 잠자리를 만들기 위해서 어느 부분이 도움이 되는가?




무조건 미리 앞서서 해본 사람들에게 찾아가 봤자 물어볼 것은 있는가? 대학원에 와서 무엇을 할 거냐고 물어보면 다른 애들(같은 대학원을 올려는 학생)과 차별화된 것이 있나? No




일단 잠자리 혹은 Quardcopter를 만들기 위해서 선행 되어야 할 공부


a. Statics, Dynamics, Control Theory 

 Matlab으로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Matlab 관련된 서적 같이 참고하며 노트 정리할 것.


b. 실제로 Matlab Simulink를 사용하여 동역학 modeling을 통해서 간단한 모터 위치 제어 해볼 것.



12월 안에 정역학, 동역학 어떻게든 끝내고 제어공학 정리할 것. 마지막으로 Simulink를 통해서 작품 만들어 볼 것.



최종적으로 공부해야 할 과목 

- 우선 : 선형대수, 전자기학, 마이크로 전자회로, 랜덤프로세서, 신호와 시스템, 제어공학, 전력 전자.

- 최종 : 현대제어, DSP, 적응 필터, 동역학, 선형 시스템, 견실제어, 비선형 제어, 최적제어, 전기 기기



Posted by 나무길 :